(+)분류 : 가져온 문서/구스위키

壽命 / lifespan
생물 또는 무생물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유효기간을 뜻하는 단어. 쉽게 말해 어떤 존재의 시작부터 끝까지의 기간을 의미하며, 생물이든 무생물이든 모두에게 적용되는 보편적인 개념이다.
1. 생물 ✎ ⊖
생명체의 수명은 출생 직후부터 사망 직전까지의 시기를 의미한다. 이는 생명체가 반드시 직면해야 하는 궁극적인 한계이며, 흔히 죽음에 대한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다. 인간은 불로불사가 아니며 언젠가는 반드시 죽음을 맞이한다.
생물학적으로 인간에게 주어진 최대 수명은 약 120세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실질적인 평균 수명(기대 수명)은 이보다 훨씬 짧다. 현대인의 경우 의학 및 생활 환경의 발전으로 인해 평균 수명이 크게 늘어나 보통 70~100년 정도를 살 것으로 기대된다. 100세 이상 사는 경우는 장수로 여겨지며 0.01%에 속할 정도로 드물다. 노인들이 "살 날이 얼마 안 남았다"며 푸념하는 것도 이 정해진 수명의 한계를 자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당수의 인구는 사고, 각종 질병(암, 심혈관계 질환 등), 재해 및 오염물질 노출, 잦은 음주 및 흡연, 자살, 타살 등의 요인으로 주어진 수명을 다 채우지 못하고 사망한다.
일반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평균적으로 더 오래 산다. 국가 및 시대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같은 나이대에서 남자 쪽이 여자보다 평균 약 5~7년 정도 더 일찍 사망하는 경향을 보인다. 남성의 수명이 짧은 이유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생물학적으로 인간에게 주어진 최대 수명은 약 120세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실질적인 평균 수명(기대 수명)은 이보다 훨씬 짧다. 현대인의 경우 의학 및 생활 환경의 발전으로 인해 평균 수명이 크게 늘어나 보통 70~100년 정도를 살 것으로 기대된다. 100세 이상 사는 경우는 장수로 여겨지며 0.01%에 속할 정도로 드물다. 노인들이 "살 날이 얼마 안 남았다"며 푸념하는 것도 이 정해진 수명의 한계를 자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당수의 인구는 사고, 각종 질병(암, 심혈관계 질환 등), 재해 및 오염물질 노출, 잦은 음주 및 흡연, 자살, 타살 등의 요인으로 주어진 수명을 다 채우지 못하고 사망한다.
일반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평균적으로 더 오래 산다. 국가 및 시대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같은 나이대에서 남자 쪽이 여자보다 평균 약 5~7년 정도 더 일찍 사망하는 경향을 보인다. 남성의 수명이 짧은 이유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 여성에 비해 흡연, 음주 등 건강에 해로운 생활 습관의 비중이 높음.
-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공격 성향을 유발하여 더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거나 심혈관계 질환 발병률을 높일 수 있음.
- 직업적 요인, 스트레스 등에 대한 대처 방식 차이.
2. 무생물 ✎ ⊖
인간을 비롯한 동물, 식물 등 생명체가 아닌 무생물의 경우에도 수명의 개념이 적용되는데, 이를 내구연한 등의 용어로 부른다. 물건이 새로 만들어진 이후부터 노후화되어 완전히 못쓰게 될 때까지의 기간을 수명이라 정의하며, 공산품이나 건물, 기계장치 등 인공적인 물건뿐만 아니라, 천체(항성, 블랙홀 등), 핵종(방사성 물질) 등 자연적인 무생물에도 수명 개념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항성은 질량에 따라 수백만 년에서 수조 년에 이르는 수명을 가지며, 블랙홀 역시 호킹 복사로 인해 언젠가는 증발하여 수명이 다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