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미군 (r1) (복원)


비로그인 상태입니다.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면 지금 접속한 IP가 기록됩니다.



[[분류:가져온 문서/구스위키]]
[[외부:https://pbs.twimg.com/profile_images/918506135186898944/II4TxkX2_400x400.jpg|width=300]]
United States Armed Forces / 美軍

[[미국]]의 군대 또는 군인. [[제1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사실상 세계 최강의 군사력을 자랑해왔으며, 현존하는 인류의 군대 중 최강이라고 평가받는 데 이견이 없는 수준이기도 하다.

== 어원 ==
원래대로라면 미합중국군(美合衆國軍) 혹은 미국군(美國軍)이 맞는 표현이나, 이상하게도 대한민국에서는 미군이라는 표현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이는 우리나라가 어원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일본의 영향을 깊게 받았기 때문으로 추정되는데, 일본의 귀축영미에 입각하여 미국을 비하할 목적으로 국(国)자를 빼고 미군(米軍)[* 실제로 옛날이나 지금이나 우익 성향의 일본인들은 미국을 매우 싫어하며, 언젠가 일본이 미국을 뛰어넘겠다는 야망을 가지고 미국을 쌀국(米国)이라고 비하하는 것도 모자라, 미국을 나라로 취급하지 않고 국(国)자를 빼버려 미군(米軍)이라는 표현을 썼다는 설이 있다. 다만 米国은 일본에서 미국이라는 단어를 음차하는 과정에서 생긴 것이 정설이다.]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 지배적이었던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 역사 ==
[[외부:https://pbs.twimg.com/media/G1D2nrnWoAAUq9w.jpg|width=400]]

미국이 영국에게서 독립할 때 싸우던 대륙군으로 시작했다. 초기 미국인들은 고립주의 성향이 강해 상비군을 제대로 유지하지 않고 유사시 예비군을 소집하는 방식이었는데, 이러한 시스템은 현재의 주방위군과 예비군 제도로 남아있다. 

19세기에는 인디언들과 싸우고 멕시코 전쟁, 남북전쟁 등을 거쳤으며, 경제력이 커졌음에도 고립주의를 고수하다가 스페인과의 전쟁을 통해 필리핀을 획득하는 정도에 그쳤다. 다만 유럽과 달리 남아메리카에는 일찍이 전력을 투자했는데, 이는 고립주의라기보다는 "유럽의 일은 유럽이 해결하라"는 식이었다는 해석도 있다.[* 주로 칠레, 볼리비아, 에콰도르에 전력을 투자하고 있는데 아르헨티나에 대한 견제를 위해 남아메리카에 전력을 투자한 것 같다는 해석이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자신의 강함을 깨닫고 세계 최강이 되었으나, 고립주의를 유지하여 [[제2차 세계 대전]] 때도 일본군이 하와이를 건드린 뒤에야 참전했다. 이후로는 고립주의를 취하지 않고 한국전쟁, 베트남 전쟁, 아프간 전쟁 등 전 세계적인 분쟁에 개입하고 있다. 한국전쟁 때 중국군의 인해전술에 고전했지만 가까스로 승리했으며, 베트남 전쟁은 국내 반전 운동으로 인해 중단하여 패배했다. 이 여파로 미군은 징병제를 폐지하고 모병제로 전환했는데, 이후의 미군은 주요 전쟁에서 대부분 승리하고 있다.

== 통제 권한 ==
미군은 군대가 민간의 지휘를 받도록 철저하게 구조화되어 있다. 한국군이 육사 출신 등 전직 장성 위주로 국방부 장관을 임명하여 군이 군을 통제하는 것과 달리, 미군은 육군, 해군, 공군 등 각 군에 민간인 장관을 두어 관리하며, 현역 장군인 육군참모총장은 민간인[* 어지간하면 군복무를 아예 한 적이 없는 사람이 각 군 장관으로 임명된다. 각 군 장관의 대우는 군대계급으로 원수에 해당되며 서열상으로도 합동참모의장보다 위이다.]인 육군장관의 명령을 받는다.[* 해군과 공군도 동일하다.] 특히 국방부장관은 군 복무 경험이 아예 없거나 제대한 지 10년 이상 경과된 자만 임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미국이 단 한 번도 군사반란을 당하지 않은 주된 이유로 꼽힌다.

== 군종 ==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말고도 해안경비대와 주방위군이라는 별도의 군종이 있다. 계급호칭에 대해서는 주방위군은 육군, 해안경비대는 해군을 따라간다.

=== 육군 ===
한국군과 달리 공수부대와 특수전 부대가 분리되어 있으며, 보병, 기갑, 기계화보병, 공수 등 한국군보다 부대 종류가 훨씬 다양하다. 현재 주한미군은 제2보병사단이 주둔하고 있다.

=== 해군 ===
[[외부:https://pbs.twimg.com/media/G5uVGlGW4AA-2xK.jpg|width=400]]
가공할 만한 규모의 해군력을 자랑하며, 전 세계 군함의 80%를 독식하고 있다. 특히 항공모함은 몇 척을 제외한 모든 항공모함이 미군 소속이며, 미 해군 제7함대의 전투력은 미국 이외의 모든 국가의 전투력을 합친 것과 대등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이것이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을 두려워하며 대만이나 일본을 함부로 건드리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이다.

=== 해병대 ===
한국전쟁 당시 장진호 전투에서 산악전을 치른 특이한 경험이 있으며, 유도, 합기도, 무에타이, 총검술 등을 합친 고유 무술인 MCMAP을 훈련한다. 또한 미국 대통령의 친위대 역할을 수행하는 부수적인 임무가 있는데, 국방부장관의 승인 없이 대통령의 승인만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유일한 부대이기도 하다.

=== 공군 ===
역사상 제공권을 빼앗겨 본 적이 단 한 번도 없으며, 이미 약 20년 전에 F-22를 개발 완료하여 지금까지도 세계 최강 전투기의 타이틀을 내주지 않고 있다. 미국 해군 항공대와 자존심 싸움이 있지만, 전력차가 크다.

일반 전투기 조종병과와 우주비행 병과가 있는데 우주비행 병과는 대령이 사실상의 진급상한선이다. 대장에 딱 한 명이 진급한 사례가 있을 뿐, 그 이외의 우주비행 병과에서는 장성에 오른 전례가 거의 없다.

=== 주방위군 ===
미국 연방정부가 아닌 각 주에 소속된 군대로, 주지사가 군통수권자이다. 공격 작전에는 관여하지 않고 해당 주의 방어에만 전념하며, 전면전 시 해안경비대와 함께 본토 방어 작전을 수행한다.

=== 해안경비대 ===
해안을 지키는 군대로, 적군이 미국 본토에 상륙하지 못하도록 막는 임무를 맡는다.

== 병영문화 ==
병영 문화는 인간성이나 실력과 무관하게 선임이 후임 위에 군림하는 문화가 있는 한국군과 달리 상호 존중을 기본으로 한다. 경례는 병 및 부사관이 장교한테만 하는 것이 규정이며, 숙소는 대부분 4인 1실[* 2인 1실도 있으나 3을 기피하는 문화때문에 3인 1실은 없다.]이다. 부사관은 이등병부터 차곡차곡 진급하여 올라가는 체계이며, 장교 역시 어렸을 때부터 JROTC를 통해 훈련시킨 인원을 임관시키는 등 한국군의 ROTC나 학사장교와는 양성 과정에 큰 차이가 있다.

=== 병영식 ===
질과 양이 훌륭하다. 뷔페식으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으며, 군대리아의 미국 버전인 잭슨 버거는 크기가 엄청나 하루 끼니를 때울 수 있을 정도다. 그 외에도 온갖 종류의 고기가 넘쳐나는 등 식단이 휘황찬란해 운동을 게을리하면 비만이 되기 쉽다.

== 영상 ==
[youtube(0JSItJ47TZw)]

[Include(틀:가져옴,O=구스위키, C=[[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deed.ko|CC BY-NC-SA 3.0]], L=[[https://web.archive.org/web/20150923022513/http://gooswiki.com:80/index.php?title=%EB%AF%B8%EA%B5%B0|링크]])]